‘춘향전’의 춘향과 향단, 몽룡과 학도의 4각 관계를 춤으로 그린 ‘춘향단전’. [사진 국립국악원]
지난주 서울 서초동에서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두 무용‘극’이 객석을 가득 채웠다.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된 국립발레단의 ‘지젤’과 국립국악원 무용단의 ‘춘향단전’이다. 1841년 초연된 불멸의 클래식발레 ‘지젤’은 종갓집 격인 파리오페라발레단(POB) 부예술감독이었던 고(故) 파트리스 바르가 최대한 원조에 가깝게 만든 버전을 국립발레단이 2011년부터 올리고 있고, 이번 시즌엔 POB 에투알 박세은 등판으로 원조의 맛에 한발 더 다가선 것으로 호평받았다.
국립국악원 무용단과 창작악단이 힘을 합쳐 6년 만에 내놓은 무용극 ‘춘향단전’도 고전 중의 고전 ‘춘향전’을 원작 삼은 140분짜리 대작인데, 원조가 아닌 파격을 택했다. 안무와 연출을 겸한 김충한 무용단 예술감독은 ‘몽룡의 첫키스 상대는 향단이었고, 변학도는 추락하는 춘향을 구해주며 눈을 맞춘 인연이 있었다’... open_in_new [중앙일보]